|
일본이 경기 부양책으로 돈을 많이 풀고 있습니다.
시중에 유동성이 급증하니 채권값은 하락하고요
채권금리는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국채금리 상승으로-재정적자압력,공공부채 증가의 부담을 안게 되었군요.
아래의 차트를 보시면 일본의 물가동향을 알수 있습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차트는 디플레이션이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2013년 맨 아래 짧고 굵은 선은 아베노믹스 시행 이후의 물가추세를 보여줍니다.
약간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것 같은데,
계속해서 경제 회복의 추세로 갈수 있을까요?
일본은 지금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아베노믹스 실패시
의도했던 실물경제의 부흥은 일어나지 않고
오른 금리때문에 빚에 허덕일겁니다.
실제로 일본의 무역적자는 무시 못할수준이죠
아래 차트를 보시면
일본이 타격을 받으면 한국에도 좋지만은 않은것이
타국의 경제가 안좋아지면 한국경제도 타격이 있을수밖에 없다는 거죠.
한국은 대외의존도가 높은 수출국가니까요.
경기부양책으로 확장재정을 하려면
예산마련을 위해 많은 국채 발행이 필요하고
공급증가로 채권값이 하락하고,채권금리가 하락해서
재정부담과,차입부담증가로 인한 민간투자 감소의 부작용도 우려하지 않을수 없는데요.
(위그래프에서 보듯이 엔화 대비 달러 환율은 계속오르고 있습니다:달러대비 엔화가치는 급속도로 떨어지고있음)
글쎄요..이러한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일본정부는 아베노믹스를 멈추려고 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이래죽으나 저래죽으나 똑같으면 극약처방이라도 해야지요..약간 그런 형국인듯.?
또한 아베는 향후 경제전략인 3차성장계획,
소위말해서 '세번째화살'이라는 중장기적대책
미래 경제 청사진을 발표했는데요.
그 주요내용은
-공공사업 규제완화
-10년간 1인 국민소득 연3%이상
-2% 경제성장
-연기금 주식투자 비중확대
-35조엔 규모 경제특구신설
-노동시장유연성 제고
입니다.
그러나 일본 시장의 반응은 냉담했습니다.
일단 일본주가를 보시죠.
경제를 살리려는 정책이 발표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주가는 폭락을 멈추지 않습니다.1만 3000천 붕괴직전까지 갑니다.
아베노믹스가 흔들리는 불안한 상황에서 구조적해결책을 제시하고 못하고
나온 대책도 당초알려져서 이미 예상한 해결책들이기 때문에 시장참여자들의 실망감이 컸나봅니다.
불확실한 국면이 계속된다고 예상한 모양 입니다.
일본처럼 규모가 큰 경제국가의 주가가 이렇게 단기간에 급락하는것은
그만큼 현재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한국경제에는 단기적으로 별 영향 없을것으로 보여집니다.
아베노믹스가 실패하여 극단적으로 국채금리가 치솟으면 한국도 그 영향에서 자유로울수 없습니다.
다만,엔화강세로 가든 엔저현상이 유지되든 좀 완만히 안정적으로 움직여주기를 바랄뿐이지요.
일본채권시장은 최근 가격이 폭락하고 금리가 올랐습니다.
이는 일본재정에 상당히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엔저현상으로 엔화대출의 부담이 감소하여 한국의 엔화대출량은 줄어들었습니다.
또한 환율변동으로 인한 자산가치의 하락으로 외환보유고도 줄어들었지요.
-그림출처:일본통계청,네이버금융,이트레이드hts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종목선정,고르는법 (0) | 2013.07.03 |
---|---|
주식투자 하는법- 지금 매수해도 되는가? (0) | 2013.07.02 |
내가 사면 떨어지고 팔면 오르는 이유 (0) | 2013.07.02 |
일본환율전망,엔화투자,엔화전망-사재기,매입 필요성 (0) | 2013.06.14 |
삼성전자 폭락-주가전망 (0) | 201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