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 주가전망
안녕하세요.
오늘은 포스코에 대한 분석입니다.
포스코는 1968년에 설립된 철강업체로
우리나라의 대표기업입니다.
주요목적사업으로 제선,제강 및 압연재의
생산과 판매,
항만하역업 및 운수업 등이 있습니다.
사업의 성격에 따라
4개의 부문으로 뚜렷하게 나눌수 있습니다.
(철강,무역,건설,기타)
현재 전략국가인 미얀마에서 호텔 개발을
진행중이며,
이를 비롯해 송도 상업부동산 운영사업 등
복합부동산개발사업과 선박용대선 사업 등을 통해
신규 사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포스코는 안정적인 원료 확보를 위하여
해외 원료업체 지분 인수등의 노력을 통해
원료개발 투자 구매 비율을 지속적으로
높여가고 있습니다.
포스코의 채권신용등급은
AA+ 로서
굉장히 우량한 등급입니다.
이는 올해 갑자기 경제위기가 발생해도
충분히 버텨낼수 있을 만큼의
안정성과 자금여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포스코의 최근 연간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는 않지만,
나름의 규모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견실한 매출을 만들어내고 있는 중입니다.
2014년에는 65조원의 매출을 올렸고,
2015년에는 58조원,
2016년에는 53조원,
2017년에는 60조원을 넘는 매출액을 만들어냈습니다.
영업이익도 비슷한 양상으로 움직였는데요.
2014년에는 3조 2천억원 정도의 이익을 냈고,
2015년에는 2조 4천억원,
2016년에는 2조 8천억원,
2017년에는 4조 7천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해마다 편차가 큰데요.
2017년에는 3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냈지만,
2015년에는 적자 마이너스 960억원을 기록하는등,
해마다 어떻게 될지는 모르는 상황이었습니다.
최근 포스코의 주가는
지난 11월 15일에 304000원의 최저점을 기록한후
장기,단기 이동평균선을 수렴시키며
상승에너지를 비축하여
1월이 되자 큰 폭으로 뛰어오르고 있는 중입니다.
최근 저점을 계속해서 높여왔다는 것이
이후 상승추세의 지속 전망에 힘을 실어줄만한
포인트가 됩니다.
좀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2016년 1월달에
최저점 155500원을 찍고
지속적으로 상승해왔죠.
그야말로 뚜렷한 상승추세를 만들어낸
상황인데요.
그보다 더 전에는
몇년전 2010년에 최고점 633000원을 찍고
거의 7년간 지속적으로 하락추세였습니다.
포스코의 시가총액은 32조원 정도로
코스피 5위에 랭크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덩치가 큰 종목인만큼
코스피지수 전체의 움직임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2016년부터의 코스피 상승추세와
맞물려 포스코도 계속 상승해왔습니다.
덩치가 큰 종목이라서
한번 추세를 정하면
그 추세가 상당한 기간동안
지속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도 당분간은 상승흐름을
타고 움직이지 않을까 판단됩니다.
포스코의 외국인 소진율은
56퍼센트가 넘습니다.
그만큼 한국의 대표기업으로서
잘 알려져있고,
외국인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우량한 종목이라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포스코는 2016년 1월달에는
최악의 경영위기를 겪으면서
15만원대까지 계속 하락했었지만,
2017년에는 늘어난 매출과 이익으로
주가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최근 포스코 주가의 상승배경은
수급이 개선되고,
제품가격인상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최근 중국 판재류 가격은 열연 6.4퍼센트
냉연 4.5퍼센트,
후판 2.7퍼센트
도금 강판이 2.5퍼센트 상승했습니다.
이처럼 작년과 올해 철강재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여
중국의 철강 수급 개선 기조가
지속적으로 이어질것으로 예상되어
앞으로도 포스코의 주가는
상승을 이어갈것이라고 판단됩니다.
철강재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포스코의 매출액과 이익 등 실적이
크게 개선될것이라는 기대감이 팽배해있고,
이러한 심리는 포스코의 주가 상승전망에도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또한,
1분기에는 유통업체들이
재고를 비축하는 기간으로
가동률이 제한되기 때문에
철강재 가격의 상승세도
가파르게 이어질거라는 전망입니다.
이러한 제품가격상승 요인을 제외하더라도
포스코는 코스피지수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큰 규모의 기업입니다.
지난 11월, 몇년만에 최초로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금리인상기의 긴축기조로 접어들었는데요.
코스피의 상승여력이 아직 남아있다고 보는만큼
포스코도 대형 우량기업으로서
코스피와 동반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난 2년간 포스코의 주가는 상승해왔지만,
앞으로도 상승여력이 남았다고 보는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경제 > 주가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올바이오파마 주가 전망!! (0) | 2018.01.12 |
---|---|
기아차 주가전망!! (0) | 2018.01.09 |
아모레퍼시픽 주가전망!! (0) | 2018.01.04 |
삼성물산 주가전망!! (0) | 2018.01.03 |
삼성전자 주가전망!! (0) | 201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