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희망의 미래
.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반응형

'건강정보/정신건강'에 해당되는 글 28

  1. 2018.10.08 가위눌림증상 가위눌림귀신
2018. 10. 8. 14:04 건강정보/정신건강
   
반응형

자다가 깼을때 몸이 안움직이고,

의식만 또렷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가위 눌렸다고 하는데요.

사람에 따라 일단 경험하면

계속적으로 가위눌리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럼 가위눌림 증상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눈이 뜬채로 고정된다.


-호흠곤란이 온다.


-말을 할수가 없다.


-의식은 또렷한데 몸이 움직이지 않는다.


-이상한 소리가 들린다.


가위가 눌리는 이유는

몸은 쿨쿨 잠들어 있는데,

뇌가 렘수면으로 각성되고,

그 상태에서 깸으로서 발생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귀신을 본다든지,

영적존재의 목소리를 듣는다든지,

무서운 장면을

실제로 체험하게 되는경우가 많습니다.


몸을 움직일수 없는데 뇌가 깨어있어

그 공포심때문에

무서운 영상을 내보이게 되는것인데요.


꼭 귀신이 아니더라도

가족이나 지인이 무섭게 나오는 경우도 있구요.

실제로 켜져있지 않은

tv소리가 들려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처녀귀신이 옆에 나타나

얼굴을 만지는 가위눌림도 있고,

여러명이 잡담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위 눌리는 원인은 뭘까요?

자기전 지나치게 몸을 혹사시키거나

과한 운동을 해서

피로물질이 과도하게 쌓이면,

생활리듬이 비정상적으로 변하고,

이로인해 뇌가 각성되어 가위눌림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가위눌림증상이 나타나는것은

몸에 피로물질이 많다는 신호이니

무리하지 않고 

적절한 컨디션을 유지하는것이 좋습니다.


여행을 할때도,

새로운 장소에 갔다는

설렘으로 뇌가 각성되고,

이 상태에서 쉽게

렘수면 상태로 들어가게 됩니다.


특히 해외로 여행을 떠난경우

환경도 많이 다르고

일정한 수면 패턴이 깨지기 때문에

더더욱 가위눌림이 쉽게 발생하게 됩니다.


잠을 잘때 이불의 무게가 상당하거나

베개가 너무 높아 잠을 잘 잘수 없을때,

잠옷이 너무 타이트한 경우 등

수면에 방해가 되는 요소가 있을때도,

얕은 잠이 들게 되며,

이 상태에서 쉽게 가위눌림이 발생하게 됩니다.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나

대인관계 스트레스 등

정신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경우에도,

가위눌림이 쉽게 나타납니다.



우리몸이 스트레스 반응을 보일때는

뇌에서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몸을 긴장시키고,

뇌를 깨워 가위눌림을 발생시킬수 있습니다.


자기 직전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하는 경우

가위 눌림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방에서 불을 끄고 스마트폰 화면을 바라보면


뇌가 각성상태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로서 렘수면에 쉽게 빠져

가위눌림의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그럼 가위눌렸을때 어떻게 풀수 있을까요?

일단 눈동자를 이리저리 움직여 봅니다.

사지는 움직이지 못하지만,

눈동자는 움직일때 쓸수 있는 방법인데요.

눈동자를 움직여 뇌가 우리몸이 잠에서 깨고 있음을

인지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크게 숨을 들이쉬면,

몸이 안움직이는게 서서히 풀리면서

가위눌림도 해소 됩니다.

이는 깊은 호흡을 통해

뇌가 잠에서 깼음을 우리몸에 일깨워주는 것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희망의 미래